Lombok @Data 어노테이션은 @Getter/ @Setter/ @ToString/ @EqualsAndHashCode/ @RequiredArgsConstructor를 합친 것 Spring Boot @Validated어노테이션 이 클래스를 구성하는 메서드 중에서 1개라고 notblank notnull... 을 사용하면 지우면 안 된다. @Valid `주로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사용되며, 주로 스프링 MVC에서 컨트롤러의 메서드에 적용된다.` @Validated `주로 메드나 클래스에 사용되며, 스프링 MVC 외의 다른 레이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.` @NotBlank 해당 어노테이션이 붙은 요소가 null이 아니고 공백 문자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음을 검증한다. @NotNull 말 그..
GET은 정보를 얻을 때 주로 사용하고, POST는 데이터를 서버로 제출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한다. GET은 주로 URL에 데이터를 노출시키지만 POST는 데이터를 숨겨서 보안을 높인다. GET 데이터를 URL에 첨부하여 발송 주로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.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며, 전송 데이터양에 제한이 있다. 캐싱 가능. 보안에 취약 POST 데이터를 HTTP 요청의 본문에 넣어 전송. 주로 서버에 데이터를 제출 또는 업데이트할 때 사용.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는다, 데이터양에 제한이 없다. 캐싱이 일반적으로 되지 않음. 상대적으로 보안이 높다.
나는 Java를 배우기 전에는 Java가 그냥 그런 언어라고 생각했다. 하지만 자바의 기초를 습득하고 스프링을 접할 때 정말 아름다운 언어잖아!라고 다시 생각했다.. 스프링 부트의 Controller에 대해 잠시 써보고자 한다. 먼저 Spring Boot는 Java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다. 그중 @Controller 어노테이션은 Spring에서 해당 클래스가 웹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클래스임을 나타낸다. @Controller public class ArticleController { } 저렇게 어노테이션을 붙여주기만 하더라도 스프링 부트에서 이게 컨트롤러구나 인식한다는 뜻이다..! 아니.. 자바는 C#이랑 비슷한 객체지향 언어가 아니였나..? 저런 식으로..
Comment